최근 정부, 지자체에서 재난 지원금 지급 관련해서 중위 소득이란 말이 뉴스에 자주 등장했습니다.
중위 소득이란 모든 가구의 소득(세전기준)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장 적은 쪽이 1
가장 많은 쪽이 100
50번째 해당 하는 가구의 소득금액 입니다.
평균이 아니라 한 가운데를 말하는 겁니다.
수학에서 말하는 median 값 입니다.
딱 50번째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중위 소득 기준으로 잡고 100% 로 표시합니다.
이 중위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이 절반이면 50%
1.5면 150%
이렇게 계산됩니다.
참고로 OCED에는 이 중위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계층을 구분합니다.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를 중산층
150% 초과를 상류층
하지만 가구원의 수가 다 다르고
평균이 아닌 median 값이다 보니
부부 두 명인 가족이
대기업 맞벌이를 하면 고소득으로 분류되고
대가족의 외벌이는 저소득으로 분류되고
막상 분류 기준표를 보게 되면 개개인마다 괴리감이 존재합니다.
아래표는 2020년 기준 중위 소득표입니다.
아마 맞벌이를 하는 2-4인 가족은 대부분 120% 혹은 150% 이상일 겁니다.
평균은 최저 값과 최대 값에 큰영향을 받게 되는데요.
지식 채널 e의 평균의 함정 영상 보시면 쉽게 이해 됩니다.
'금융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 3법 소급 적용 시행일 사례 모음 (0) | 2020.07.30 |
---|---|
710 부동산 대책 핵심 법안 상임위 통과 feat. 또 오르겠다 (0) | 2020.07.29 |
요즘 부동산 폭등을 바라보며(기회의 문) (1) | 2020.07.21 |
한도 높고 승인율 높은 1금융 대출 대구은행 중금리대출 추천합니다. (0) | 2020.07.19 |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0) |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