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클라우드 서버 사용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트래픽 개념, 과금 기준

아마존 AWS, MS Azure, 네이버 ncloud, kt cloud 같은 대세가 된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할 때 네트워크 비용에 대해서도 반드시 고려를 해야합니다.

물론 일반 유저들이 테스트 용도로 서버를 생성해서는 99% 네트워크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서버 비용에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을 무료로 제공해 줍니다.


대부분의 회사가 인바운드 트래픽은 무료, 아웃바운드 트래픽에 대해서 과금을 하는데 개념이 생소할 수 있지만 간단합니다.

인바운드 트래픽은 외부 인터넷 -----> 클라우드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
아웃바운드 트래픽은 클라우드 서버 -----> 외부 인터넷으로 나가는 트래픽.

 




회사마다의 정책이 다르고 서버의 등급마다 제공해주는 트래픽 양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잘 살펴보시면 됩니다.
서버 대당 월 500GB, 1TB, 2TB 정도까지 제공하는 곳도 있고 추가로 전체 서버 합계로 1TB or 2TB를 넘으면 과금하는 곳도 있습니다.
내부네트워크는 또 무료지만, 다른 리전에 있으면 과금하는 것도 있고요. 큰 맥락은 같지만 회사마다 과금 정책이 다릅니다.

또 클라우드 서버기 때문에 보통 몇 시간 사용하고 이러면 해당 서버에 제공하는 양(월 트래픽)을 일할 계산해서 적용합니다.

어느 정도 서비스가 돌아가거나 이미지 혹은 파일 다운로드를 제공하지 않는 이상 테스트 서버에서는 도달하기 힘든 트래픽이죠.

요금의 비싼 정도는 한국 클라우드 회사들은 서버 비용이 10~20불 정도 비싼 대신 트래픽은 조금 넉넉히 주는 경향이 있고.
해외 회사들은 테스트 용도의 서버는 엄청 싸지만 서비스 용도는 어느정도 비슷하고, 트래픽도 약간 비싼 편입니다.




추가로 예전에 서버를 조금 다뤄보시거나 방화벽을 조금 건드려봤으면 뭐야 이럴수 있는데.

방화벽을 설정하실 때는 내부 네트워크, 외부 네트워크 단절 시키기 위해 이더넷 장비를 사용했으면 해당 장비를 기준으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설정하는데요.
마찬가지입니다. 클라우드 서버를 기준으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정합니다.


개인용 윈도우 방화벽에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차피 인터페이스가 하나)

컴퓨터로 들어오는 패킷을 제어하고 싶으면 인바운드 설정에서, 컴퓨터에서 나가는 패킷을 제어하고 싶으면 아웃바운드 설정을 손보시면 됩니다.